CD의 변화, 환경과 현실에 발맞춰 움직이고 있는 가요 시장
2023-12-10

1. 승객이 버스에 타자마자 출발하여 승객이 위기를 느끼거나 쓰러진다.
2. 버스에서 라디오를 크게 틀어 승객의 정신적 고통을 조성 한다
3. 운전 중 브레키를 급히 밟아 승객의 위기를 조성 한다.
4. 출퇴근 시내버스 시간대역에는 정원초과 하여 콩나물시루가 되어도 계속 승객을 태워 불쾌감을 조성한다.
5. 운전자가 핸드폰 통화를 하여 승객이 불안을 느끼게 한다.
6. 운전이 난폭해 승객은 손잡이를 잡고 매달려 신기한 경험을 하게 한다.
7. 시정을 하도록 요구 하는 사람도 없지만 시정을 요구하면 더 난폭해지는 보복성 운전한다.
8. 시내버스가 정비가 않 되였는지 차가 부서지는 굉음이 나 불안하다.
이와 같은 시내버스는 후진국 스타일이다. 지금은 선진국인제도 운전 교육과 운송회사의 안전교육 그리고 감독기관의 무관심이 후진국 형에서 탈출 못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일 년에 수백만명이 해외 여행하는데도 후진국만 다녀서 그런지 아니면 단체여행을 다녀서 그런지 시내버스를 타본 경험이 없어서 '그런가 봐요, 우리와 가까운 나라의 공공버스를 타보세요, 아하! 역시 선진국이야'라는 마음이 들게 되는 공고버스의 운전 매너로 그 나라를 평가하게 된다. 우리는 '사촌이 땅을 사면 배 아프다' 속답이 너무 강열하여 선진국인데도 선진국을 느끼지 못하게 하는 공공 서비스는 이제 빨리 버리고 '남이 잘되어야 내가 잘된다'는 생각으로 변화를 해야 안전한 동방예의지국가(東方禮儀之國家)의 보편적 가치를 되찾을 수 있게 국민 도두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
이학박사 최무웅. 건국대학교명예교수. 땅물빛바람연구소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