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KZ 재찬, 채널A 새 드라마 '체크인 한양' 주연 캐스팅…데뷔 후 첫 청춘 사극 도전!
2024-04-16

손호준은 극 중 ‘갑질’에 지친 제약회사 영업사원을 해구 역을 맡았다. 그는 이번 작품을 통해 제 옷을 입은 듯 유쾌하고 코믹한 캐릭터를 완벽 소화했다. 이는 ‘주유소 습격사건’, ‘신라의 달밤’, ‘광복절 특사’ 등 코믹물의 대가인 김상진 감독과의 만남으로 한층 더 빛을 발했다.
“전통 코믹물의 영화는 처음이에요. 감독님이 거장이시니까 믿고 디렉션을 따랐죠. 굉장히 디테일하게 해주세요. 전적으로 감독님을 믿고 시작했죠. 원희형 같은 경우는 코믹을 오래 하셔서 노하우도 있고 장면마다 준비 해오신 게 많았어요. 많이 배웠죠.”
“사람마다 취향이 있기 때문에 재밌게 보신 분들도 있고 유치하게 생각하실 분들도 있을 거예요. 개인의 성향차이니까요. 사실 감독님께서 코믹물을 많이 해오셨어요. 20대부터 감독님께서 하셨던 작품을 보면서 30대가 된 사람들은 더 이해하기 쉬울 거예요. 제가 그 당사자이기도 하구요. 사실 지금의 10, 20대 분들의 개그코드는 잘 모르겠어요. 그분들이 어떻게 봐주실지는 그분들의 몫이죠.”

“그럴 일은 없을 거예요. 사실 어렸을 때는 외적으로 예쁘시고 귀여우신 분들을 좋아했던 것 같아요. 그런데 사람을 만나다보면 아주 짧은 시간이라도 각자의 매력을 느낄 수 있죠. 요즘에는 기본적인 매너를 지켜주시는 분이 좋아요. 그리고 제가 만나는 여자친구는 제 친구들에게도 그런 매너를 지켜줄 것이라 생각해요. 제 친구들 또한 그렇구요. 그런 확신이 있어요. 그래서 여자친구를 만난다면 그런 기본적인 매너를 지키는 분을 만날 것이라 그럴 일은 없죠.”
“연애는 극 중 캐릭터와는 정 반대에요. 허세도 없고 솔직하게 말하는 편이에요. 없으면 없는 대로 있으면 있는 대로 만나고요. 여자친구와의 관계뿐 아니라 일하는 사람도, 친구와의 관계도 마찬가지에요. 제가 100% 오픈을 해야 된다고 생각해요. 제가 오픈을 하지 않았는데 상대방이 마음을 열고 다가와주길 바라는 것은 아닌 것 같아요.”
그에게 여행은 ‘준비’였다. 차분하고 잔잔한 그의 성격처럼 여행을 떠나는 방식도 손호준 다웠다. 하지만 ‘꽃보다 청춘’ 이후로 그는 진짜 여행의 묘미를 깨달았다.
“첫 외국여행이 ‘꽃보다 청춘’ 촬영으로 떠났던 라오스였어요. 그 다음이 간곳이 ‘정글의 법칙’으로 떠났던 팔라우였죠. 화려한 네온사인이 있는 도시를 가본 곳은 일본이었어요. 그것도 화보촬영차 갔었죠. 외국이라는 게 실감이 잘 안 나더라고요. 다 비슷하게 생기신 아시아 사람들이었거든요. 간판에 한국말이 없다는 걸 보고 외국이라고 느꼈죠.”
“여행 계획은 항상 있어요. ‘이번년도에는 꼭 여행을 가야지’하고 생각을 하죠. 하지만 그 해 12월 마지막 날 ‘이번에는 못 갔구나’해요. 여행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준비도 하고 금전적인 여유나 됐을 때 가는 것이라 생각했었는데 ‘꽃 청춘’ 이후로 생각이 조금 바뀌었어요. 그 때 정말 모르고 갔었거든요. 정장입고 칫솔 하나만 챙겨 갔는데도 정말 재밌었어요. 여행이라는 게 어려운 것이 아니라 ‘마음먹기에 달렸구나‘라는 걸 그 때 알았죠.”

“정말 운이 좋았던 것 같아요. 제가 지금까지 한건 아무것도 없어요, 주위 분들이 저를 만들어주셨죠. 어떻게 감사를 드려야 할지 모르겠어요. 많은 분들께서 이야기를 해주세요. 예능에서 말을 워낙 안 해서 답답하다고 하시더라고요. 저도 사실 답답하고요. 전 그렇게 욕심이 있는 편이 아니에요. 굳이 욕심을 가져야 한다면 배우로서 더 내고 싶죠. 작품에 조금 더 욕심을 쏟아내고 집중하고 싶어요.”
“‘집밥 백선생’을 예로 들면 선배님들이 토크를 할 때, 문득 재밌을 것이라고 생각나는 이야기가 있어요. 그렇다고 그때마다 말을 자르고 들어가는 것은 예의가 아니라고 생각해요. 그러다보면 어느새 주제가 넘어가서 아까워했던 적도 있었죠. 그래도 제가 여기서 욕심을 부려야 한다고는 생각 하지 않았어요.”

“제가 배우라는 직업을 갖고 있지만 저 스스로 아무리 배우라 생각해도 배우가 되지 않는 것 같아요. 절 보는 많은 분들이 인정해 주실 때 배우가 된다고 생각해요. 지금은 인정받기 위한 과정이라고 생각해요. ‘바람’ 대본도 굉장히 재밌게 봤어요. 오디션에 들어가서 하고 싶다고 말씀드렸죠. 재밌는 작품에 참여하고 싶었어요. ‘응사’이전에도 틈틈이 1년에 한 작품을 했었죠. 아주 조그만 역할이라도요. 그 짧은 시간이 1년을 버틸 수 있게 해줄 만큼 컸거든요.”
“‘응사’가 제 대표작이라고 하기엔 거창한 것 같아요. ‘응사’는 제가 항상 의지하고 함께 할 수 있는 이들이 더 많아질 수 있도록 해준 작품이에요. 순서가 그렇죠. 저는 배우가 되고 있는 시기고 인정 받아가려는 시기에요. 진정한 배우로 인정받고 나서도 ‘응사’에 대한 이야기를 할 수 있을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