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의 변화, 환경과 현실에 발맞춰 움직이고 있는 가요 시장
2023-12-10

[온난화 대책]
1. 철포라 할 수 있는 겔이라성 강우의 강도와 지속시간 예측이 어려워 자연재해 방지를 위한 시설정비.
2. 국지적 기온 상승으로 극심한 더위와 추위에 견딜 수 있는 작물의 신품종 개발 촉진.
3. 농수산물 고온 과 저온에 강한 야채와 벼 품종개발.
4. 수자원 확보를 위한 도시홍수유출 저류지하댐 과 소규모 물 저수 댐 확산.
5. 자연생태계의 급변의 결과인 멧돼지, 고라니, 외래종 등에 대한 대책,
6. 하천하구의 저지대 인구밀집지역 홍수대책 수립,
7. 급격한 기온상승과 기온 강하로 인한 쇼크사방지 및 농업용 로봇개발 절실.
8. 각 지방에 개발 운영하고 있는 레저에 변화 예상되므로 지역적 대책.
9. 개화와 단풍시기 변화의 영향대책.
10. 수문요인의 관측과 예보에 강한 대책.
11. 조기정보 엡 개발하여 주민 대피 대책.
12. 급격한 지형변화예측지역 거주민 이주.
이상과 같은 온실효과가스 배출 삭감과 더불어 지구온난화 대책은 범국가적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보다 더 세부적 대책을 심각하게 강구할 것을 COP21은 권고하고 있다.
이학박사 최무웅.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명예교수. 땅물빛바람연구소 대표(mwchoi@konkuk.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