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의 변화, 환경과 현실에 발맞춰 움직이고 있는 가요 시장
2023-12-10

친구는 “손잡이를 꽉 잡았는데도 몸이 댕글댕글 도는 신기한 경험을 했다”며 “정신없었지만 재미있었다. 운전자는 승객의 안전을 전혀 생각하지 않고, 운전만 하는 게 신기하게 느껴졌다”고 전했다.
필자도 매일 버스 타면서 느끼던 것이지만 운전기사에게 왜 아무 말 못했는지 생각해봤다.
인성을 가다듬는 운전 매너
1. 승객이 운임카드를 체크하고 빈자리에 앉거나 안전 손잡이를 잡은 후 발차해야한다.
2. 특히 노령자나 어린이가 승차했을 때는 더욱 안전을 고려해야한다.
3. 버스가 승강장에서 멀리 떨어지지 않게 정차해야 한다.
4. 언제나 버스가 출발할 때는 승객들이 출발하는지 느끼지 못 하게해야 한다.
5. 물론 버스가 정차 할 때도 항상 규정된 곳에 세우고 승객을 안전하게 내리게 해야 한다.
6. 버스 이용자에게 라디오 방송을 틀지 말아야 한다.
7. 기사는 버스 내의 온도를 쾌적하게 하고 신선한 공기를 공급해야한다.
8. 버스가 주행 시 부품이 흔들리는 소리가 나지 않게 정비해야 한다.
9. 기사는 버스 승하차시 안내 방송을 해야 한다.
이렇게 하는 것이 매너며, 누구나 안전하고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게 제공하는 것이 일등국가 국민의 인성이다.
이학박사 최무웅. 건국대학교 명예교수. 땅물빛바람연구소 대표(mwchoi@konkuk.ac.kr)
최무웅(mwchoi@konkuk.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