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의 변화, 환경과 현실에 발맞춰 움직이고 있는 가요 시장
2023-12-10

지금 우리는 아무거리낌 없이 영상으로 소통하고 있지만 각각의 고유성 즉 문화적정체성은 그대로 존족하고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문화의 특성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는 경향이 많다.
우리는 긍정을 끄덕끄덕 부정은 좌우로 그러나 불가리아에서는 고개를 끄덕이는 것은 부정 좌우로는 긍정을 표시하는 것은 우리와 정반대이다 이런 것을 모르고 상거래를 한자면 경제적 손실이 클 것이기 때문이다, 붉은색 글씨는 우리는 적 자라하여 손해 본 것을 표시하는 것이나, 덴마크는 긍정적 표시, 아프리카는 죽음을 표시, 하는 것이다.
이런 것들이 그 나라의 고유의 문화이지만 나를 중심으로 아니 우리문화로만 소통하다가는 큰 실수를 하고 지금까지 쌓아온 것이 물거품이 되는 것이므로 소통의 매너가 절실하다.
나라가 다른 사람과의 소통은:
1. 같은 한자 문화라고 옛날 문화적 혹은 한자로 써 상대가 당황하지 안하게 소통하는 매너
2. 상대와 대화는 가장 알아듣기 쉬운 단어를 선택하여 소통하는 매너
3. 잘난척하려고 어려운 단어를 써 의사소통이 안 되게 하지 않는 매어
4. 국가가 다른 사람과의 소통은 가장 쉬운 말로 대화하는 매너
5. 인사법 제스춰 언어의 톤 등을 상대방의 문화적으로 소통하는 매너
6. 소통에서 내가 너보다 똑똑하다는 인상을 주지 안는 매너
7. 상대의 피부색 형태 패션 등을 대화로 삼지 않는 매너
8. 국가가 다른 사람과 소통은 그가 잘 알아듣게 쉽고 간결하며 그의 문화적 소통매너
이학박사 최무웅 건국대학교 명예교수. 땅물빛바람연구소 대표(mwchoi@konkuk.ac.kr).
안혜선 기자 ent@mainnew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