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의 변화, 환경과 현실에 발맞춰 움직이고 있는 가요 시장
2023-12-10

안하무인(眼下無人)은 자신을 너무 크게 평가하여 그런 현상이 일어나서 결과적으로는 손해를 보게 된다.
그래서 나를 생각하고 남을 생각하는 것, “지기지피 는 백전백승“이라는 말은 지금도 변함이 없지만 조금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나의 태도(態度), 신념(信念), 가치관(價値觀)으로 자아개념(Self Concept)이 정해지면 나의 이미지(Self image)를 고정시켜 놓고 상대에 대한 분석 아니 현재 그가 하고 있는 현상 분석을 하고 대화의 네벨를 정하여 그가 쉽게 이해하여 의사결정의 결심을 하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며 방문 목적일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공감하는 것은 서로 소통을 처음 하더라도 오래전에 만난 사람 같이 느낌을 느끼게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왜냐하면 저항 없이 소통이 잘 이루어 젔 다는 증거이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또 하나의 주요 포인트는 상대에 따른 자아개념 수위를 조절하는 능력이 민감해야 한다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런 것이 조정 불가능한 딱딱한 사람은 절대로 세일즈 또는 현장에 나가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지기지피의 매너:
1. 상대와 대화시는 상대으 혼을 읽어내는 매너
2. 상대의 미간을 중심으로 정조준하여 대화를 시작하는 매너
3. 상대가 현재하고 있는 현상을 충분히 이해하고 그것에 대한 깊은 지식 매너
4. 상대가 숨기려는 것을 찾아내서 박살내지 않는 매너
5. 상대의 대답에 긍정적으로 표시 매너
6. 방문자가 자신의 존재감을 주장하지 않는 매너
7. 언어의 톤 색깔 내용은 상대를 사로잡는 것처럼 해서는 안 되는 매너
8. 언어는 정직성이 배어있는 단어 어감 내용을 선택하는 매너
9. 상대가 심리적으로 방어하는 대화를 해서는 안 되는 매너
이학박사 최무웅 건국대학교 명예교수. 땅물빛바람연구소 대표(mwchoi@konkuk.ac.kr).
안혜선 기자 ent@mainnew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