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의 변화, 환경과 현실에 발맞춰 움직이고 있는 가요 시장
2023-12-10

혼자 집에 있을 때는 상대가 없으니 말로 소통할 기회는 없다. 그래서 핵가족이 늘면서 반려동물과 대화가 귀중하게 생각하는 것은 반응 때문 이다.
그러나 집 밖으로 나가면 1대1, 2대1, 단체와 소통하고 대화하고 토론하지만 각각의 그룹의 크기에 따라 이야기하는 태도 내용 억양 등등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극히 자연적이기도 하다. 그 자연적 때문에 지켜야할 매너가 생기고 그것이 관계를 개선 또는 분쟁으로 갈수도 있기에 항상 매너를 지킨다면 활동이 즐거울 것이지만, 매너 따위는 가볍게 생각한다면 고립 또 고립되어 한없이 마음이 쥐구멍에서 햇빛 들기를 기다는 신세가 될 수도 있기에 수에 따른 단체소통은 매우 중요하며 자신의 자존심과 긍지 그리고 상대가 나의 평가가 적나라하게 나타난다.
이에 따른 결과가 사회활동의 구심점이 된다. 여기에서 적응 못 하면 또 다른 곳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 직장을 옮기는 것 아닌가. 그래서 "나는 이직장이 안 맞아" 하는 단어로 표현되는 것이다. 그래서 집에서 새는 바가지가 밖에 나가도 샌다는 옛말이 생각나는 격언이다.
단체토론에서 지켜야할 매너:
1. 용감하게 보이려고 행동은 토론에서 부적합 하므로 삼가는 매너
2. 상대의 구릅이 잘 들이도록 고성을 얼굴 붉기면서 말하지 않는 매너
3. 언제나 단체 토론은 억양을 높이지 안 해도 힘이 있는 단체토론을 늘 생각하는 매너
4. 자신의 모험담을 피력하여 예로 들지 않는 매너
5. 집단적으로 양극화를 유도하지 않는 매너
6. 집단적 이익 사고에 현혹되지 않는 매너
7. 결정방법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효율화를 잘 지키는 매너
8. 토론 순서를 잘 지켜야하는 매너
토론에서 결론된 내용을 기록하고 정리하는 매너
이학박사 최무웅. 건국대학교 명예교수. 땅물빛바람연구소 대표(mwchoi@konkuk.ac.kr).
안혜선 기자 ent@mainnew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