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인뉴스 이예은 기자] 정우가 묵직한 울림을 들고 변호사로 분해 스크린에 돌아왔다. ‘히말라야’, ‘쎄시봉’, ‘바람’, 그리고 ‘재심’까지. 이쯤 되면 정우는 실화를 좋아한다고 추측해도 이상하지 않다. 하지만 그는 굳이 실화 작품을 찾아서 등장하는 게 아니라, 사람냄새 나는 이야기 혹은 삶의 축소판에서 뛰어 노는 것을 좋아하는 배우일 뿐이었다.
영화 ‘재심’은 택시기사 살인사건의 유일한 목격자인 현우(강하늘 분)가 경찰의 강압적인 수사에 누명을 쓰게 된 뒤 10년을 감옥에서 보내게 되며 그 진실을 밝혀내려는 변호사 준영(정우 분)의 이야기를 그렸다. 영화 속 등장하는 약촌오거리 사건은 2000년 전북 익산에서 택시기사가 차 안에서 살해당한 실제 사건이다. 정우는 돈 없고 빽 없이 살아온 세속적인 변호사로 분해 열연했다. 돈과 명예를 위해서라면 가리지 않는 캐릭터의 성격을 밉지 않게 표현했다. 살인 사건, 누명, 재심 소재만으로도 무거워질 수 있는 이야기에 쉽게 몰입할 수 있었던 건, 그가 지닌 특유의 ‘뺀질거림’ 연기가 영화에서 빛을 발했기 때문이다.
또한, 변호사이긴 하지만 법정 드라마가 ‘재심’의 중심이 아니기 때문에 휴머니즘에 더욱 집중했다. 정우는 영화의 전개에 따라 변하는 준영의 감정처럼 관객이 정확히 그의 시선을 따라가게 만들었다. 상대역인 강하늘의 현우 역까지 돋보이게 만들며 두 남자의 감정 변화를 힘 있게 이끌고 나갔다.

Q. 영화는 생각했던 대로 잘 나온 것 같나
“제가 생각했던 것보다 조금 더 따뜻해서 좋았어요. 소재 자체도 그렇고, 실화를 바탕으로 하다 보니까 관객 분들이 무거워하실까 걱정했어요. 영화는 시나리오보다 조금 더 따뜻하게 느낌이에요. 엔딩에 대해서 아쉬운 부분은 없어요. 저는 마음에 들어요. 다만, 배우로써의 법정 변론하는 장면이 한 두 장면 있었으면 하는 개인적인 바람은 있어요. 재미있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Q. 영화의 모티브인 ‘약촌오거리 사건’을 원래 알고 있었나
“시나리오 받기 전에는 몰랐었어요. 그 이후에 알게 됐고, 그 때 사건을 찾아봤었어요. 시나리오를 처음 읽었을 때는 여타 시나리오랑 똑같이 생각을 하고 읽었어요. 이렇게 영화 같은 이야기가 실화라는 소리를 듣고 깜짝 놀랐어요. 굉장히 충격적이었어요.”
Q. 전문직인 변호사라는 직군을 맡으면서 따로 준비한 게 있나
“변호사라는 직업 자체에 대해서 특별하게 다가가려고 하지는 않았어요. 말 그대로 직장인이고 직업이 변호사일 뿐이라고 생각하면서 다가갔어요. 물론, 변호사이기 때문에 사건을 설명하는 장면에서 어려운 대사가 자연스레 나오도록 숙지를 하긴 했죠. 용어가 많이 어려웠어요. 단어나 문장이 워낙 전문적이고 쓰던 단어가 아니라서 입에 익숙하게 하려고 많이 되뇌었죠. 그 외에는, 변호사 분이 실존인물이시니까 그 분에 대한 인터뷰 기사를 보거나 출연 영상을 찾아봤어요. 이후에 촬영 중간에 그 분을 실제로 만나면서 궁금했던 것들을 해소했어요.”

Q. 속물적인 인물에서 정의에 불타는 인물로 변하는 준영의 감정선을 어떻게 해석했나
“사람을 이해하고 아픔을 이해할 때 결정적인 에피소드가 있어야하나 싶어요. 조금씩 마음을 열어가는 거죠. 준영이도 사람이라잖아요. 부와 명예를 위해서 사건에 접근하긴 하지만 현우가 가짜 시뮬레이션을 펼치는 순간부터 잘못된 것을 느꼈을 거예요. 그렇다고 해서 바로 완전히 마음을 열고 도와주는 게 아니고 현우의 엄마도 만나고, 마을 사람들의 모습을 보고 그러면서 점점 더 열어갔겠죠. 저는 그게 더 설득력이 있었어요. 한 번에 사람을 믿을 수는 없고, 믿음이란 게 조금씩 쌓여가는 거 같아요. 결국엔 완전히 올곧이 믿게 되고 이해하게 되면서 현우의 상처를 감싸줘야겠다는 생각과 함께 재판을 시작하는 거죠. ‘재심’은 어떤 한 인물을 이해하고 믿는 과정을 그린 휴먼드라마라고 생각해요.”
Q. 준영이란 인물이 주는 매력은 무엇이었나
“준영은 변호사란 직업에 있어서 사명감을 가지고 있는 캐릭터가 아니에요. 오로지 돈과 부와 명예를 위해서 인생역전을 위해서죠. 원래 공부를 되게 못했는데, 선생님이 생활기록부에 준법정신이 미약하다고 적은 것을 보고 한방에 고시원에 들어가잖아요. 로펌에 들어가서도 돈 벌려고 변호사 하는 거 아니냐고 말하는 속물근성을 가진 인물이긴 하지만. 나름대로의 남자다움이 있는 거 같아요. 생활기록부 하나 때문에 한방에 뒤집을 정도로 포부가 넘치는 캐릭터에요.”
Q.‘ 변호인’의 송강호 캐릭터를 연상시킨다는 평가도 나온다.
“두려워요. 저는 ‘변호인’을 너무 감명 깊게 봤고, 송강호 선배님을 동경해요. 비교 자체가 안돼요. 말이 안 되는 것 같아요. 같이 언급되는 것 자체가 굉장히 부담스러워요. 조심스럽고요.”
Q. '쎄시봉'에 이어서 강하늘과 함께 하는 두 번째 작품이다. 호흡은 어땠나
“(강)하늘이는 상대방을 참 편안하게 해주는 재주가 있어요. 그게 최고 아닌가요? 연기할 때도 그렇고 평상시에도 그래요. 또 미소가 정말 아름다워요. 웃는 게 예쁘잖아요. 처음에 캐스팅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나서 기분이 정말 좋았고 반가웠어요. 하늘이가 많이 바빠서 잘 못 봤는데 작품으로 만나게 되었죠. ‘쎄시봉’때보다는 색이 조금 더 짙어진 것 같아요. 자기만의 색을 점점 만들어가는 듯해요.”

Q. 유독 촬영장에서 ‘한 번 더’ (촬영하자)를 가장 많이 외친 인물이었다고.
“‘히말라야’같은 다른 현장에서는 선배님들이 많이 계셔서 제가 함부로 하지는 못했어요. 이번 현장에서는 열정을 가지고 열심히 하려는 분위기를 만들고 싶었어요. (이)동휘나 (강)하늘이도 동생이니까 의욕적으로 만들고 싶은 마음에 그랬죠.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하늘이도 ‘한 번 더’를 외치더라고요. 그래서 그거 보고 저도 ‘아 그래? 그래라!’ 하면서 그랬던 기억이 나요. 배우가 영화를 위해서 그러는 게 무슨 문제가 있겠어요. 굳이 그래도 되지 않을 때 하는 건 문제가 있겠지만요.(웃음) 적재적소에 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해요.”
Q. 아내로 등장하는 김소진 배우와의 스토리가 많이 드러나지 못한 것 같은데.
“아쉽게도 편집이 됐어요. 김소진 배우와 이야기 나누는 신도 있었어요. 준영이가 부와 명예를 선택할 것인지, 정의로운 길을 선택할 것인지 고민하는 찰나의 모습들이 담겨있는 장면이었는데 편집이 됐더라고요. 준영의 또 다른 감정선을 보여주는 장면인데 아쉽긴 하죠.”
Q. 드라마는 ‘응답하라 1994’이후로 안 하고 있다.
“매력적인 캐릭터가 있다면 얼마든지 드라마 촬영도 하고 싶어요. 대본을 많이 주시면 좋겠어요.(웃음) 어떤 이야기를 가지고 풀어나가는 작품인가에 대해서 그게 우선이지 않을까 싶어요. 그 후에 캐릭터가 궁금해지면 하는 거죠.”
준영 역의 정우가 펼치는 연기는, 그가 얼마나 조심스레 캐릭터에 접근했고 완벽하게 흡수했는지 판단할 수 있는 훌륭한 지표다. 진중함과 가벼움을 오가는 그의 팽팽한 연기는 ‘재심’에서 만날 수 있다.
이예은 기자 9009055@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