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무웅 칼럼] 지역이라는 변함없는 기반은 인간의 역사는 물론 지구환경의 생명체를 비롯해 무생물에 이르기까지 삶의 핵심 발판으로 생(生). 성(成). 사(死)의 순환은 점(点)에서부터 선(線)에 이르는 과정은 1행정 2행정 3행정 4행정은 지역변동의 차이를 극복하려는 액션이지만 거대한 데이터가 주머니 속 아니 손 안에서 가공하는 에너지가 지역을 기반으로 이노베이션을 해오고 있다는 것은 새삼스러운 일은 아니지만 지역이 계절 변화 하듯이 원 웨이에서 투 웨이 등의 플랫트 홈 IOT x AI의 독창성이 경제적 가치를 크게 부여하고 있다. 지역기반은 개발도상국가나 앞서가는 국가 모두 동일한 지역기반을 이용하고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4차 산업혁명시대는 지역을 기반으로 한 전통적 가치를 높게 생산 유지하는 기초로 별 무게중심이 없는 것이라고 생각해왔던 것이 가장 가치 있는 것으로 탈바꿈하는 것은 변함없는 지역성이 가치의 중심이 되기 때문이다. 지역은 과거는 데이터 이용활용의 정보유통이 지역에 주는 효과는 크지 않은 것은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 유통자의 정보독점이 지역의 가치를 인정치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4.0은 네트워크로 인한 생산량조정과 생산방법 출하의 시기 등으로 시장에서 지역 기반이 조성 또는 빅 데이터 모델에 의한 모든 것을 지역 빅 데이터에서 기준 되는 새로운 세상이 전개되기 때문에 지역의 유동성이 극치에 다다를 것이라고 예측되고 있다. 그러면서 가장 강력한 소비자 그룹으로의 역할 또한 지역시장의 창성(創成) 유통 환경지역이 핵심으로 부각되는 데이터 유통활성화가 IOT x AI 지역기반이기 때문이다.
지역의 기본적 방향성은 국가의 글로벌한 활동으로 경쟁, 협동, 생산, 품질관리, IOT x AI에 의한 규격관리 유통 핀 텍스 등 기역기반 유통시장의 책임이 명확히 보장되기 때문이다. 지역기반에서는 구제적인 플랫트 홈 구축을 위해 식물공장을 IOT로 가장 안전하고 필요한 만큼 주문생산을 네트워크 자동화가 원 스톱 서비스로 한 스마트 식물공장 IOT x AI의 성분분석과 동시에 주문자의 신체정보 데이터 연동이 자동으로 구매량 조정은 스마트 식물공장의 최종생산량이 되며 핀 텍스가 관리 해 주게 되는 지역기반 스마트식물공장으로의 구축은 늦어도 2020년까지는 완성해야하며 IOT 그리드 시스템 구축도 함께 이루어져야 기본경쟁력이 강화되는 4.0 사회의 지역기반이 될 것이다.
이학박사 최무웅 건국대학교 명예교수, 땅물빛바람연구소 대표(mwchoi@konkuk,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