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인뉴스 이예은 기자]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한 수많은 시대극 작품들은 투사들의 활동을 그려내면서 드라마틱한 요소들을 가미해 진중한 낮은 텐션의 분위기로 감아냈던 게 일반적이다. 일제의 통치 아래 이루어진 우리나라의 참혹한 비극은 잊어서는 안 될 뼈아픈 역사의 한 자락이기 때문.
하지만 이준익 감독은 방향을 틀고 새로운 패턴을 짰다. 활기찬 음악과 함께 이준익 감독이 펼쳐낸 ‘박열’ 속 당대의 청춘들의 모습은 경쾌하리만큼 강했고 활동 내역에 주력하기보다 신명나게 그들의 신념을 올곧이 스크린에 담아냈다.
일본 제국의 한복판에서 항일 운동을 하기 위해 남루한 생활을 이어가고 일본인들의 인력거꾼을 자처하는 박열(이제훈 분)이지만 그는 조선인을 조롱하는 일본인에게만큼은 칼을 휘두르며 기세등등한 모습을 보인다. 그런 박열에게 매료되어 스스로를 아나키스트라고 칭하는 가네코 후미코(최희서 분)은 첫 만남에 동거를 제안하고 두 사람은 같은 신념하에 ‘불령사’의 멤버이자 연인, 그리고 동지로서 항일운동을 이어간다.
하지만 1932년 관동대지진 이후 퍼진 괴소문으로 6천여 명의 무고한 조선인이 학살되고 사건을 은폐하기 위해 관심을 돌릴 화젯거리가 필요했던 일본 내각은 혼란을 틈타 박열을 대역사건의 배후로 지목한다. 일본의 속내를 읽어낸 박열은 일제의 만행을 전 세계에 알리기 위해 과감하게 자신이 일본의 황태자 폭탄 암살을 계획했다며 자백하고 스스로 일본의 첫 조선인 대역 죄인으로 나선다.
박열은 어떠한 억압에도 결코 지친 내색을 하지 않고 오히려 일본의 관료들을 쥐락펴락하며 여유로운 모습을 이어간다. 그의 동지, 쿠미코 역시 마찬가지. 박열과 함께 투쟁하기 위해 스스로 대역 죄인을 자처한 그녀는 박열을 향한 절대적인 신뢰를 드러내며 일본의 ‘틀림’을 그 누구보다 당당히 비판하고 조롱한다. 조금의 찡그림도 없이 연신 당당한 두 사람의 모습은 웃음을 자아냄과 동시에 자연스레 우리의 마음속에 희망까지 심어낸다.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앞장섰던 인물들의 삶, 일본 제국주의에 저항하는 아나키즘. 암울한 시대상에 그려진 분노의 소재로 손꼽히지만 이준익 감독은 마치 관습처럼 박혀진 침울함을 완전히 탈피해 더할 나위 없이 유쾌한 연출력을 발휘했다.
다소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비극적이고 단조의 선율 대신 희극적이고 밝은 분위기의 선율을 차용해 그 시대 청춘들의 투쟁을 더욱더 찬란하게 빛냈다. 갖가지 형태로 변주되어 등장하던 무용가 최승희의 ‘이태리정원’은 영화의 정서를 완벽히 관통한다. 또한 화려하고 액션 가득한 대형 스케일의 투쟁을 기대했다면 오산이다. 보다 작은 부분에 디테일하게 신경 쓰며 과도함 없는 한 인간의 삶과 일상을 올곧이 옮겨냈다.
더불어 여타 영화와는 달리 일본의 위치를 새로운 시각으로 재조명했다. 보통 한일관계를 표현할 때, 일본은 절대악으로 등장하지만 ‘박열’ 속 일본인들은 입체감과 함께 다채로운 성향을 띤다. 비도덕적이고 극단적인 일본 수뇌부들도 등장함과 동시에 당시 서양의 눈치를 많이 봤던 일본의 관료들도 존재했기에, 나름의(?) 합리적인 논리를 들이대며 무자비한 폭력성에 반대하는 캐릭터들도 함께 그려진다. 또한 박열과 쿠미코를 지원하며 민중의 자유를 주장하던 일본인들의 모습도 색다르다.
이제훈은 100%를 넘어서 120% 박열의 모습으로 둔갑했다. 그가 본래 지니고 있던 말끔한 이미지는 모두 던진 채 조선 최고 불량 청년으로 분했다. 호기롭고 당당한 눈빛에 걸쳐진 남루한 외모는 그가 스스로를 박열에 투영하기 위해 얼마나 파격적인 변신을 꾀했는지 단번에 알아챌 수 있다. 불량기 가득한 청년의 모습은 마치 영화 ‘파수꾼’ 속 얼굴을 연상케 하고 격정적으로 감정을 폭발시키는 법정 장면은 드라마 ‘시그널’ 속 불의에 분노하던 면모를 연상케 한다. 그간 자신이 쌓아온 모든 경험을 이 작품 속에 완전히 쏟아냈음을 여실히 느낄 수 있다.
그런 이제훈 옆에서 제대로 날개를 펼쳐낸 최희서는 독보적인 캐릭터를 완성해냈다. 이준익 감독의 전작 ‘동주’에서 동주의 시를 사랑한 일본인 쿠미 역으로 열연했던 그녀는 ‘박열’에서 한층 더 깊어진 연기를 선보인다. 완벽한 일본어를 구사하다가도 어눌한 한국어 발음을 늘어놓는 그녀에게서 쿠미코의 익살스러움이 가득 묻어난다. 온몸을 써가며 극의 활기를 책임지는 최희서를 보면, 상대역인 이제훈이 “대한민국의 영화계를 이끌 차세대 여배우”라는 극찬이 충분히 이해가 가는 지점이다.
이준익이 발굴한 또 한 명의 유망주가 빛을 발한다. 그 주인공은 박열과 쿠미코의 수사를 담당하는 예심판사 다테마스 가이세이로 등장한 김준한. 그는 두 사람이 뿜어내는 진심과 일본인으로서 지니고 있던 제국주의 사상 사이에서 딜레마를 겪는 과정을 섬세하고 유려하게 표현했다.
이준익, 이제훈, 최희서가 연주한 앙상블은 남다르다. 현 시대를 우리에게 선물하기 위해 고군분투했던 역사 속 아름다운 위인의 모습을 마냥 구슬프고, 가슴 미어지게 표현하지 않았다. 오히려 여유로운 해학과 뜨거운 열망을 지닌 그들의 신념과 저항이 자연스레 우리의 현재 모습을 재단하게 만든다. 28일 개봉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