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인뉴스 이연주 기자] 이병헌, 김윤석, 이름만 들어도 묵직한 두 배우가 영화 '남한산성'에서 만났다. 여기에 고수, 박해일, 조우진까지 가세했다.
'남한산성'은 1636년 인조 14년 병자호란, 나아갈 곳도 물러설 곳도 없는 고립무원의 남한산성 속 조선의 운명이 걸린 가장 치열한 47일 간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 청의 굴욕적인 제안에 화친(나라와 나라 사이에 다툼 없이 가까이 지냄)과 척화(화친하자는 논의를 배척함)로 나뉘어 첨예하게 맞서는 조정, 참담하게 생존을 모색했던 낱낱의 기록을 담은 김훈 작가의 동명 소설을 영화화했다.
묵직한 이야기 가운데에는 최명길 역의 이병헌과 김상헌 역의 김윤석이 자리했다. 나라와 백성을 위하는 충심은 같으나 지키고자 했던 시념이 달랐던 두 신하를 중심으로 팽팽한 긴장감을 불어넣는다.
극중 정세를 객관적으로 보는 통찰력과 나라에 대한 지극한 충심을 지닌 이조판서 최명길로 분한 이병헌은 실제 역사를 바탕으로 한 ‘남한산성’이기에, 그 어느 때보다 진지하고 심각하게 접근했다고. 어떠한 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강인함과 신념을 굽히지 않는 기개를 지닌 예조판서 김상헌 역의 김윤석 역시 마찬가지였다.
김윤석은 “풍자와 해학이 넘치는 우리의 고전의 작품이었다면 재미있게 찍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남한산성은 방송에서도 다룰 때 한 회차로 넘어가거나 피해가는 굴욕적인 역사고 기억이기도 하다. 이것을 제대로 건드려서 알아야 한다는 점들이 굉장히 와닿았다”고 진심을 전했다.
‘팩션’아닌 실제 역사를 오롯이 그려낸 작품이기에 임했던 마음도 진중할 수박에 없던 두 배우는 실제로 촬영 현장에서도 첨예한 연기 대결을 펼쳤다.
이병헌은 “보통 장면 리허설을 하면 상대 배우가 어떻게 이 씬을 해석했는지 파악이 가능하고, 호흡을 어떻게 맞추면 될지 감이 온다. 하지만 매 테이크를 갈수록 김윤석 선배는 종잡을 수가 없었다”며 “매번 다른 연기를 하시더라. 탁구로 예를 들자면, 디펜스하는 것이 굉장히 힘들었다. 앞으로 뛰어와서 받다가 뒤로 가서 받아내고 그랬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뜨거운 열을 느꼈다. 제가 관객 입장에서 봤을 때처럼 굉장히 뜨거운 배우라고 생각했다. 감정에 모든 것을 다 실어서 내뱉기 때문에 매 테이크마다 다른 느낌이구나 싶었다”고 덧붙이며 김윤석의 열정에 박수를 보냈다.
김윤석 역시 이병헌과의 연기 소감을 빼놓지 않았다. 김윤석은 “이병헌 씨는 한 마디로 이야기하면 정통파다. 굉장히 정제된 상태에서 대사와 비틀어진 무언가가 실리지 않고 정석적인 것들을 놓치지 않는다”고 감탄했다. 이어 “연기적인 면으로 화려함도 있으나 맡은 배역에 있어서만큼은 굉장히 정제된 상태에서 대사를 치는구나 싶었다. 그걸 실제로 느끼니까 제게는 약간 신선한 느낌이었다. 현대극과 ‘광해’랑은 또 달랐다”고 극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