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인뉴스 이연주 기자] 올 겨울, 2017년의 마지막을 뒤흔들 영화 '1987'이 베일을 벗었다.
22일 오전 서울시 강남구 압구정 cgv에서 영화 ‘1987’ 제작보고회가 열려 장준환 감독을 비롯해 배우 김윤석, 하정우, 유해진, 김태리, 박희순, 이희준이 참석했다.
‘1987’은 1987년 1월, 스물두 살 대학생이 경찰 조사 도중 사망하고 사건의 진상이 은폐되자, 진실을 밝히기 위해 용기 냈던 사람들의 가슴 뛰는 이야기를 다룬 작품으로, ‘지구를 지켜라’ ‘화이: 괴물을 삼킨 아이’를 연출했던 장준환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이날 장준환 감독은 “제작기 영상을 보니 눈물이 나려고 한다. 배우 분들이 모두 잘하시지만 각자의 개성들이 미묘하게 다르다. 영화 한 편을 하고 나니까 장편 7편을 한 느낌이 들 정도로 힘들 부분도 있지만 감독으로서 언제 이런 호사를 누려보겠는가 싶다. 그 모든 것들이 저 때문이 아니라 이야기가 가지고 있는 힘, 같이 동참해주신 배우 분들을 향한 고마움이 느껴진다”며 벅찬 마음을 드러냈다.
진실을 은폐하려는 박처장은 김윤석이 활약한다. 김윤석은 “대공의 이미지를 극명하게 드러낼 수 있는 인물을 연기해야 한다. 이 인물을 통해서 권력이 얼마나 강렬하게 사람들을 제어하고 있었는지 보여주기 위함이다. ‘황해’ ‘타짜’의 캐릭터들은 굉장히 자유로운 캐릭터고 무정부주의자에 가까운 악인이었다면 박처장은 실존 인물이었다. 이 사람의 신념이 하나의 이념이 되어서 오랜 시간 많은 것들을 억누르는 것들을 등에 업고 표현해야 했다”며 심도 깊은 고민을 드러냈다.

부당에 맞서 소신 있는 행동으로 부검을 밀어붙인 최검사 역의 하정우는 “저의 롤은 사건을 은페하려고 시작하는 순간에 그 부분에 브레이크를 걸고 세상에 알리는 것이다. 초반에는 관객 분들이 제 편에 서서 영화를 봤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정의 실현에 대한 부분이기 때문에 그런 부분에 있어서 영화에 편하게 들어갈 수 있게끔 디자인을 하려고 했다”라며 소망을 전했다.
올해 ‘택시운전사’ 이후 다시 한 번 그 시절의 보통 시민으로 분한 유해진은 진실을 감옥 밖으로 전하려는 한교도관으로 분했다. 그는 “처음에는 시나리오의 재미에 끌렸다. 이후 ‘택시운전사’처럼 우리의 아픈 현실을 그리고 있다는 점이 좋았다”고 출연 계기를 밝혔다.
전작 영화 ‘아가씨’ 를 통해 독보적인 충무로의 신예로 떠오른 김태리는 교도관인 외삼촌(유해진 분)과 함께 사는 87학번 대학 신입생 연희로 분한다. 연희 캐릭터는 그 시절의 보편적인 시민을 대표하는 인물.

김태리는 “선배님들이 하신 역할은 전부 실존인물이었거나 모티브로 한 인물들이다. 연희는 완벽하게 창조된 인물이다. 그래서 걱정이 많았다. 연희는 중반이 지나서부터 등장을 하는데, 선배님들이 쌓아놓은 큰 에너지가 있질 않나. 그걸 제가 받아서 그대로 에너지를 가져가야하니까 굉장히 다이나믹했다”고 소감을 밝혔다.
‘1987’을 이끌어간 수장, 장준환 감독은 “온 국민이 나와서 독재 권력으로부터 커다란 권리를 쟁취해낼 수 있던 부분이 저에게는 굉장히 감동적이었고 지금 이 시기에 다시 한 번 돌아볼 만한, 봐야할 것 같은, 그러나 아무도 이야기하지 않고 있는 역사라고 생각한다. 이 시대에 우리를 되돌아볼 수 있는 거울처럼, 옷매무새를 고쳐서 발전해나가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키기 위해 꼭 필요한 이야기다”며 영화가 지닌 뜨거운 진심을 전했다.


이외에도 사건의 진실을 끝까지 물고 늘어지는 윤기자를 맡은 이희준과 대공형사 조반장 역의 박희순부터 오달수, 설경구, 문성근, 김의성, 조우진 등 많은 배우들이 진정성을 가지고 참여한 ‘1987’은 오는 12월 27일 개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