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인뉴스 홍진호 기자] 지구를 지킬 수 있는 완벽한 방법이 존재할까? 정답은 ‘YES’이다. 점점 훼손되고 오염되고 있는 현재 지구 곳곳의 상황. 걷잡을 수 없이 환경오염에 따른 지구 온난화 현상이 심각해지고 있지만, 몇 년 동안 우리의 일상의 평범함을 앗아간 코로나 19 때문에 환경이 다시 회복될 수 있다는 점을 깨닫게 됐다.
코로나19로 인해 하늘길이 막히고 거리 두기가 시작된 지 불과 얼마 되지 않아 지구 곳곳에서는 놀라운 상황들이 일어났다. 좀처럼 보기 힘들던 야생동물들이 출연하는가 하면 일부 훼손된 자연 등이 회복되며 지구가 스스로 회복되고 있는 것을 목격했다. 쓰레기 등으로 몸살을 앓고 오염되고 있던 관광지 역시 사람들의 발길이 끊기자 놀랍도록 아름다운 모습을 복원, 충격을 안긴 바 있다.
그리고 지구를 지킬 수 있는 완벽한 방법으로는 우리가 겪었듯이 ‘탄소중립 생활’을 실천하는 것이다. 누구나 환경을 훼손하지 않는 방법은 잘 알고 있다. 하지만 편리함과 혹은 다른 이유로 마음처럼 지키기 쉽지 않은 것이 환경오염이다.
이에 가수 김소희는 환경부를 통해 지구를 지키는 완벽한 방법의 하나인 ‘탄소중립 생활’ 실천에 대한 정보를 알렸다. 그렇다면 탄소중립 생활이란 무엇일까? 생소한 단어처럼 들릴 수 있지만, 사실은 어렵지 않다. 탄소중립 생활은 지구의 들숨(이산화탄소 흡수량)과 인간의 날숨(온실가스 배출량)의 균형을 맞추는 것을 의미한다.
지구를 과일즙처럼 계속해서 짤 수는 없다. 습지, 숲, 나무 등을 만드는 지구의 들숨의 양은 정해져 있다. 즉, 인간 날숨의 양을 줄이는 것이 더욱더 급선무일 뿐만 아니라 이른 시일 안에 환경을 보호할 방법이 될 수 있다. 특히 소희는 탄소중립 생활은 가정부터 학교, 회사까지 언제 어디서나 실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렇다면 탄소중립 생활을 위한 수칙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먼저 난방 온도를 잘 설정하는 것이다. 난방 온도는 2℃ 낮추고 냉방 온도는 2℃ 높인다면 환경을 보호하는 데 큰 보탬이 될 수 있다. 적정 실내 온도를 유지하는 선에서 에어컨을 켤 때는 2℃를 높이고 보일러를 켤 때는 2℃를 낮추는 습관을 들이면 되는 것이다. 특히 추운 겨울에는 난방 온도를 무리하게 높이는 것 보다 집에서 긴 팔, 긴 바지 등 따뜻하게 입고 있는 것 또한 좋은 습관이다.
이렇게 지구를 위한 착한 습관을 들이고 실천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환경 보호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까? 작은 행동이기 때문에 어떤 결과가 올지 예상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탄소중립 생활을 하는 것만으로도 1년에 약 3800만 그루가 넘는 나무를 심는 효과를 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 다음에는 평소 사용하는 메일함을 비우는 것이다. 메일함을 비우는 것과 환경 보호가 어떤 관련이 있을까? 메일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면 이를 관리하는 데이터 센터가 많아져야 하고 전력 사용량도 늘어난다. 또한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뜨거운 열기를 식히는 전력도 많이 필요하다. 우리가 무심코 지나가는 순간, 잠들어 있는 순간에도 탄소는 계속해서 일을 하는 셈이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1년간 사용하는 일회용 비닐봉지의 사용량은 무려 211억 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1인당 비닐봉투 연 사용량은 약 410장인 것이다. 이는 그리스의 3.5배, 핀란드의 100배가 넘는 수치로 엄청난 양임을 알 수 있다. 이제는 비닐봉지 대신 다회용 용기를 사용하거나 장바구니, 에코백을 이용하고 카페 등에서는 텀블러를 사용하는 것 또한 탄소중립 생활을 실천하는 것이다.
더불어 가까운 곳에서 생산한 음식재료를 구매하는 것 또한 환경 보호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음식재료가 가정에서까지 오는 과정을 살펴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다. 식재료 유통, 보관 과정 등에서 온실가스가 배출되고 있는 것. 이에 가까운 지역에서 생산된, 되도록 국내에서 생산된 농·축·수산물을 구매하거나 지역 농산물 매장을 이용하는 것도 좋다. 그뿐만 아니라 텃밭이나 화분 등에서 직접 키워 먹는 것도 추천 방법이다.
이밖에도 저탄소 제품 인증마크가 있는 제품을 사용하고 샴푸, 바디 워시 등의 제품은 리필용 제품을 사용하고 리필제품 판매점을 이용하는 것과 평소 사용하지 않는 콘센트는 뽑아두고 불필요한 조명은 꺼두는 것, 사용하지 않을 때는 화면 등을 절전상태로 설정해놓는 것 또한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