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의 변화, 환경과 현실에 발맞춰 움직이고 있는 가요 시장
2023-12-10

[메인뉴스 홍진호 기자] 배우 박진희가 해양 쓰레기에 대한 경각심을 알렸다.
박진희는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을 통해 “바다가 플라스틱으로 심각하게 오염됐다”라고 운을 뗐다. 이어 “우리는 일주일에 신용카드 한 장 분량의 미세플라스틱을 먹고 있다”고 덧붙였다.
덧붙여 박진희는 “일주일에 신용카드 한 장”이라며 “바다에 버려진 플라스틱은 쪼개져 미세플라스틱이 되고, 이를 먹은 물고기들이 먹이 사슬을 통해 인간의 건강을 해치고 있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또한 박진희는 “바다와 바다 생태계, 인간이 모두 살길을 찾아야 하지 않을까요?”라고 질문을 건네며 반려 해변, 바다 생물, 해양 쓰레기, 노 플라스틱, 기후 위기, 바다, 당신의 반려 해변은 어디인가요?라는 해시태그를 남겼다.
이에 누리꾼들은 “저는 비치코밍 하고 왔어요. 플라스틱 조각이 너무 많아서 속상했답니다” “기업부터 책임을 갖고 제품을 생산해줬으면 좋겠어요” “함께 해양 오염을 실천합시다” “저는 해양 오염을 위해 친환경 세제를 사용해요” 등 다양한 생각을 공유했다.
이처럼 현재 지구 곳곳의 바다는 오염으로 심각한 수준이다. 육지에서 밀려든 쓰레기들이 거대한 섬을 이룰 정도라고. 이에 해양 오염을 해결하기 위한 각종 제도 등이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근본적인 곳에서부터 시작한다면 해양 오염 우려는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
즉, 플라스틱 생산을 줄인다면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플라스틱의 양도 감소할 것이다. 하지만 플라스틱은 현재 우리 삶에 너무 깊숙하게 들어와 있다. 저렴한 가격부터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단번에 플라스틱을 사용하지 않는 것은 매우 어려울 터.
이에 각종 나라에서 플라스틱 생산, 사용 규제와 관련된 내용을 알리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카페, 편의점 등에서 일회용품 사용을 하지 못하는 등 다양한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우리가 쓰는 지구, 또 우리의 후손들이 살아갈 지구를 생각해야 할 때다.
사진=박진희 SNS